안녕하세요. 지난번에 LMS 업로드 강의 다운로드 받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밑에 링크를 올려드릴것이니 모르시는 분들은 확인해주세요.

참고로 이번에 알아보는 주제와 많이 연관되니 알아두는 게 좋겠죠?


https://tifn0521.tistory.com/14

 

LMS 업로드 강의 다운로드 받는 방법(초보자도 쉽게 가능!)

안녕하세요. 코로나로 인해 현재까지도 비대면 LMS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들을때 제일 중요한게 복습이죠. 시험기간이 다가올수록 꼭 필요한데 어떤 교수님들은 강의

tifn0521.tistory.com


이렇게 강의를 미리 다운받아두는게 바람직한 모습이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리 다운받는게 아니라 시험 치기 직전 벼락치기 때문에 강의를 다운로드합니다(저도 그렇고요)

그리고 교수님들마다 수강기간이 끝나면 강의를 막아두는 교수님이 있는데 미리 강의를 다운받지 못하면 막막합니다.

이때 이 방법을 쓸 수 있는데요. 사진과 함께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먼저 주소창에 https://lcms.knu.ac.kr/em/      을 입력해서 들어가줍니다.

들어갔을 때 '잘못된 요청입니다'라는 화면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주의점은 lms가 아닌 lcms라는 건데요. LCMS는 Learning Contents Making System의 뜻합니다.

학생들이 아닌 경북대학교 교직원들이 사용하는 건데 여기선 상관없이 lcms라는 것만 주의해서 주소창에 입력해주면 ok!

 

이때 지난번처럼 ctrl+shift+i 혹은 f12를 눌러주게 된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브라우저 옆에 나올 건데요.

 

여기에서 화면 맨 위에 있는 여러 선택지 중에 'Application'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그 밑으로 복잡한 영어문장들이 나올 건데 다른것은 건들지마시고 왼쪽에 있는 'Cookies'를 더블클릭해줍니다.

그리면 바로 밑에 'http://lcms.knu.ac.kr' 이 나올건데 그것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이제 위 화면이 나올 겁니다.

 

여기에서 여러분이 원하는 강의를 찾는 가장 빠른 방법은 'Expires / Max-Age'를 클릭해서  정렬을 바꾸는 것입니다.

그러면 위에서 처럼 Expires / Max-Age 밑으로 2021-11-21T10:34:44.000Z 이런 식으로 나올 건데

바로 이것이 여러분이 강의를 시청한 마지막 날짜, 시간이라는 점입니다. 강의를 여러 번 실행했으면 마지막으로 누른 시간이 나타난다는 것이죠. 다만 년도는 해당 날짜와 1년 차이가 나는 게 정상입니다. (만료일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위의 예에선 제가 2021년 11월 21일 오전 10시 34분 44초에 실행시킨 강의가 표시된 것이죠.

 

자 이 정보로 제가 원하는 강의를 찾아내야 합니다. 운 좋게 강의들은 시간이 기억난다면 좋지만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사람은 기억하지 못하죠.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왼쪽에 up_last_time_XXXXXXX으로 표시된 Name이 있는데 우리가 필요한 건 오른쪽 끝에 있는 XXXXX부분입니다. 이를 클릭해서 복사해줍시다.

 

이제 그러면 이제 우리가 찾은 정보로 강의를 실행해보는 시간입니다.

주소창에 'http://lcms.knu.ac.kr/em/' 바로 이 뒷부분에 복사해둔 XXXXX부분을 붙여 넣기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http://lcms.knu.ac.kr/em/5fa8bfb263fe' 이렇게 작성해주면 완성입니다. 그리고 접속해주시면 예전 강의가 잘 나올 겁니다.

 

 

 

 

여기에서 응용법으로 맨 처음 안내해드린 LMS 강의 다운로드하는 법을 그대로 여기에도 적용해도 좋겠습니다.

그리고 강의 본 시간이 기억이 안 난다면 하나하나씩 복사 붙여 넣기를 하며 찾아보는 수뿐이 없습니다ㅠㅠ

 

마지막 주의사항으로 이 방법은 우리가 강의를 본 쿠키를 활용하기 때문에 강의를 본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ex) 크롬으로 강의를 듣고 파이어폭스에서 지난 강의 찾기 불가

그리고 만약 쿠키를 인터넷 사용기록 초기화 등으로 삭제했다면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쿠키가 용량만 차지하고 쓸모없다 생각했는데 위와 같은 쓰임새로 쓸 줄은 몰랐네요.

 

 

 

도움되셨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잘못된 정보도 알려주시면 감사할게요.

+ Recent posts